냉방병
심장의 사정은 심박동을 관찰할 수 있는 흉부의 위치를 찾아서 그 지점을 봄으로써 시각적인 검사를 시작할 수 있다, 이 지점은 좌심실의 위치를 나타내주는 곳이나, 심첨맥박을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지점이다, 7세 이하의 어린 아동은 유두선의 외측면과 4번째 늑간에 7세이상의 아동은 유두선이나 정중선과 5번째 늑간이 만나는 부위에 이 지점이 이싿, 이 지점을 최대 충동점이라고 하며, 대개 아동의 50%정도에서 관찰될 수 있다. 심장의 좌측면을 사정하기 위해 흉부의왼쪽을 타진한다, 겨드랑이에서부터 타진해오면, 점점 심장을 구분할 수 있는 둔한 소리로 바뀌게 된다, 심장이 보통보다 더 왼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심장비대를 의미한다,
타진시 정상적으로 유두 중앙선과 액와 중앙선 사이에서 공명음에서 편평음으로의 변화를 보인다.
심음을 듣기 위해서는 주로 4곳을 청진한다, 이곳은 심장 판막의 해부학적 위치는 아니지만, 심장 판막의 전달되는 소리를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곳이다.
승모판은 좌측 유두선의 제4늑간 혹은 제5늑간에서 가장 잘 들린다.
삼첨판은 흉골 하부에서 가장 잘 들린다, 폐동맥판은 좌측 제2늑간에서 가장 잘들린다, 댕동맥판은 우측 제2늑간에서 가장 잘들린다, 청진으로 들을 수 있는 정상 심음과 비정상적인 심음에 대한 설명이다, 비정상적인 심음음 처음에는 청진기의 넓은 면으로 듣고, 그 후 좁은 면을 사용하면 잘 들을 수 있다.
댓글
댓글 쓰기